면 단위 하나로마트부터 시작된 ‘찔끔 완화’ 정책, 실효성은?

지역사랑상품권의 사용처가 일부 농촌 농협 매장으로 확대되면서 농민과 주민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하나로마트와 농자재판매장 같은 실질적 생활 기반 매장에서의 사용이 가능해졌다는 점은 중요한 진전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제한적인 범위와 복잡한 조건으로 인해 정책의 실효성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책 개정으로 바뀐 농협 사용처 등록 조건
2025년 6월 25일, 행정안전부는 지역사랑상품권의 사용처 확대를 위한
지침을 개정하였습니다. 이번 개정으로 마트·편의점 가맹점이 전무한 면 지역에
소재한 하나로마트와 농자재판매장이 가맹점 등록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는 농촌 주민들이 실제 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사용처가 부족하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시도이며, 앞으로의 확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
전국적으로 얼마나 확대되었나?

이번 조치로 혜택을 받는 농협 매장은 전국적으로 약 130곳입니다.
전국 1,168개 면 중 11% 수준이라는 점에서 여전히 매우 제한적인
적용이라는 지적이 있습니다. 농촌의 실질적 수요와 비교했을 때,
실제 체감되는 효과는 아직 부족한 편입니다.
구분 수치
전국 면 지역 수 1,168곳
사용처 등록 허용 농협 약 130곳
적용 비율 약 11% 수준
⸻
인천의 선도적 적용 사례

인천시는 인천e음 운영을 통해 지역사랑상품권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농협은행 인천본부는
코나아이와의 컨소시엄을 통해 제휴 서비스를 확대하며,
포인트 제휴와 오프라인 지원으로 지역 주민의 편의를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너나e음 서비스’는
현장 중심 행정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포인트·캐시백 혜택, 농촌에서도 가능할까?

NH멤버스 포인트와의 연계 제휴를 통해 포인트를 충전하여상품권처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도 진행 중입니다.
또한 인천지역의 경우 2025년 7월부터 연매출 기준에 따라 캐시백 비율도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연매출 구간 캐시백 비율
3억원 이하 10%
3~30억원 기존 5% → 7%
이러한 혜택이 농촌지역에도 적용된다면,
실질적 소비 유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쓸 곳 없는 상품권’에 대한 불만 지속
실제로 상품권을 보유한 농촌 주민들의 가장 큰 불만은
“쓸 곳이 없다”는 점입니다. 슈퍼나 편의점이 있더라도
상품 구색이 너무 협소해 실생활에 사용이 어렵습니다.
산내면 주민 유윤준씨는 하나로마트가
“마을 유일의 소비처”라고 밝혔으며,
벌곡면의 김건우씨는 “영농자재 구매도 농협 외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증언했습니다.
⸻
사용처 확대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한계

이번 개정안이 적용되는 조건은 매우 제한적입니다.
‘경합 매장이 없는 면’이라는 조건으로 인해 다수 지역의
하나로마트는 여전히 가맹점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읍·동 지역은 아예 적용 대상이 아니어서
농촌 주민 간 역차별 논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같은 인구감소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행정 구역 단위에
따라 형평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
국회의 움직임… 전면 확대 가능할까?
현재 국회에서는 보다 폭넓은 사용처 확대를 위한
법안 개정이 추진 중입니다.
문금주 의원, 이원택 의원, 신정훈 의원 등이 발의한 개정안은 읍·면 지역뿐 아니라 연매출 기준 완화와 생산자 단체 등록 허용 등 보다 현실적인 개선을 담고 있어 농민들의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의원 주요 내용
문금주 읍·면 농협 사업장 등록 허용
이원택 연매출 기준 완화 제안
신정훈 생산자 단체 등록 허용 추진
⸻
앞으로의 과제와 정책 제언
이번 지침 개정은 첫걸음에 불과합니다.
농촌의 구매 환경과 소비 구조를 고려할 때,
모든 읍·면 지역 농협 매장으로의 전면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아울러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연계하여
하나로마트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지자체 재량을 확대한 것도 긍정적인 변화지만,
시·군별 판단에 따라 형평성 논란이 재현될 우려도 존재합니다.
궁극적으로는 전국 농협 매장을 지역사랑상품권
사용 가능처로 지정하는 보편적 기준이 필요합니다.
#지역사랑상품권 #하나로마트사용확대 #농협상품권가맹점 #농촌경제활성화 #인천e음정책 #농자재상품권사용